*자간조절*(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) <table>
<table>
*행간조절* (각 td의 넓이를 조절하여 행간을 조절하는게 아니라 한개의 td안에서 <br>을 이용했을때의 행간조절) |
*자간조절*(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) <table>
<table>
*행간조절* (각 td의 넓이를 조절하여 행간을 조절하는게 아니라 한개의 td안에서 <br>을 이용했을때의 행간조절) |
다음과 같이 스타일을 지정해주고...
#opacity{background:url(../img/board/opacity.gif) no-repeat;filter:alpha(style=0, opacity=25, finishopacity=0);
border:1px solid #000000;}
버튼이 들어가는 td에 정의한 id 넣어주고, td안에 있는 테이블을 레이어로 감싸준다. 끝!!
<tr>
<td height="43" id="opacity">
<div style="position:relative;top:0;left;0">
<table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r>
<td width="250"> </td>
<td width="60"><img src="../img/board/btn_modify.gif" width="45" height="18"></td>
<td width="60"><img src="../img/board/btn_del.gif" width="45" height="18"></td>
<td><img src="../img/board/btn_list.gif" width="45" height="18"></td>
</tr>
</table>
</div>
</td>
</tr>
테이블 스타일로 구현
<table style="border-collapse:collapse;" border=1 bordercolor=teal>
<tr>
<td>내용1입니다.</td>
<td>내용2입니다.</td>
</tr>
<tr>
<td>내용3입니다.</td>
<td>내용4입니다.</td>
</tr>
</table>
<br><br><br>
<!-- 테이블 셀간격을 이용한 구현 -->
<table bgcolor=red border=0 cellspacing=1>
<tr bgcolor=white>
<td>내용1입니다.</td>
<td>내용2입니다.</td>
</tr>
<tr bgcolor=white>
<td>내용3입니다.</td>
<td>내용4입니다.</td>
</tr>
</table>
Table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<table height="(세로)" width="(가로)" border="(선 두께)" cellspacing="(테이블 여백)" cellpadding="(테이블 여백)">
Td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<td height="(해당 칸 높이)" bgcolor="#CCCCFF(배경색)">
<STRONG>
글자를 <STRONG>굵고 진하게</STRONG> 나타낸다.
글자를 굵고 진하게 나타낸다.
주소줄에 아이콘 넣기 [meta] [link rel="SHORTCUT ICON" href="http://경로를적으세요/favicon.ico"] [/meta] |
<table border=0 cellpadding=0 cellspacing=0 width=100% height=100% align=center>
<tr>
<td width=100% height=100% align=center valign=middle>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>
들어갈 내용을 넣으면 웹 브라우저 상하좌우 가운데 정렬로
정 중앙에 내용이 뜨게 됩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>
</td>
</tr>
</table>
|
THML 제작시 한글 인코딩 시키기 위한 명령어... HEAD HTML에 넣어 사용합니다.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ks_c_5601-1987"> 유용하게 써야지..ㅋㅋ 영문과 한글일 경우는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 /> |